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아이들 체질따라 교육방법도 달라요"

나라 여성전문 한방병원을 운영하는 진승희 원장은"아이가 싫어하는 일을 억지로 시키는 것은 좋지 않다"고 주장한다. 체질에 맞는 일을 해야 자신감에도 생산력에도 효과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체질을 판별하는 방법은 성격 좋아하는 음식 잘 걸리는 질병 등에 대한 설문지 분석과 체성분 검사 생체자율신경 검사 외모 본인이 태어난 생년월일을 통한 종합적인 판단으로 이루어지는데 부모들이 가능한 자녀의 체질에 따라 권장하거나 피해야 할 일을 구분해주는 것이 좋다는 것. 한 예로 놀이용 장남감 블럭을 흩뜨리면서 노는 아이들이 많은데 이런 경우 엄마의 입장에서 아이에게 블럭쌓기만을 고집하여 고치려고 하는데 사실 이런 아이의 능력이 여러가지 일을 한꺼번에 할 수 있는 능력이 배양되고 암기력이 좋다는 결과가 보고된 바가 있다. 왼손으로 밥을 먹거나 그림을 그리려고 하는 아이 한가지에 집중하지 않고 금방 다른 놀이로 바꾸는 아이들도 고유의 특성을 그대로 살려주는 것이 좋다는 것. 공부방법 또한 마찬가지. 엄마와 자녀의 체질이 다른 경우는 동일한 학습방법으로 효과적인 성적을 기대할 수 없다. 열심히 공부하는데도 성적이 잘 오르지 않거나 평소 공부때는 잘 알다가도 시험만 보면 갑자기 기억이 나지 않거나 실수를 많이 하는 아이들은 현재의 상태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진 원장은 말한다. 체질이 다르면 학습방법도 달라져야 하며 같은 체질이라 하더라도 하위권의 학생이 상위권 학생의 학습방법을 따라하는 경우 성적 능률이 오르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 각 체질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화체질은 평소 잡생각이 많이 집중이 잘 안되는데 현재 수험생의 경우는 잡생각이 공부를 방해한다고 할 수 있지만 성인이 되었을 경우는 창의력이 뛰어나 창의력이나 순발력이 필요한 직업을 선택하면 본인 체질에 잘 맞을 수 있다. -목체질은 모범생 타입이라 하나를 가르쳐 주면 그 하나 이외에는 옆을 쳐다보지 않는 특징이 있어 진취적이거나 모험이 필요한 일은 별로 좋아하지 않으나 어렸을 때부터 운동을 꾸준하게 많이 하면 두뇌발달이 빨라 이해력이 좋아진다. -금체질은 성격이 칼같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사회성이 좋고 잘 어울리지만 맺고 끝는 것이 명확해서 손해를 보거나 하는 일은 잘 없는 경우가 많다. -토체질은 어려서부터 입이 짧아 잘 안 먹어서 걱정을 끼치는 경우가 많다. 소아들 중 밥을 잘 안먹어 한의원에 오는 아이들 중 토체질이 많고 이런 경우는 밥을 많이 먹으면 오히려 탈이 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 수체질은 차분하며 이해력이 많이 필요로 하는 아이들이 많아 급하게 닥달을 하면 잘 못 따라하는 아이들이 많다. 선천적으로 기가 부족한 수체질은 성장이 늦은 아이들도 있다.

2010-02-28

"먼저 인품과 열정을 키워라"

스스로 하버드 입학사정관이라고 가정해보자. 그럼 최고의 학교 명성에 걸맞게 최고의 신입생들을 뽑고 싶을테고 과연 '어떻게 하면 될까'를 고민하게 될 것이다. 무엇보다 3만명에 가까운 지원생들을 모두 만나서 파악할 시간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해야한다. 그렇다면 어떤 방식으로 학생들을 가려낼까. 우선 학교가 공부하는 곳이라는 점을 염두에 둬야한다. 그렇다면 처음 봐야하는 것은 성적이다. GPA와 SAT 시험 성적같은 것이다. 그 학생이 얼마나 학업에 충실했고 공부를 잘 하는 학생인가를 일단 살펴볼 수 있다. 한 해 고교졸업생은 약 300만명이다. 하버드에서 입학승인 서류를 받는 학생들은 이중 2000명 정도이다. 0.06%의 치열한 경쟁이다. 일만명의 학생 중에 단 6명만을 뽑는다. 우리가 서울대 다닐 때 72만명 정도가 학력고사를 봤는데 이중 6000명 정도에게 합격증을 줬다. 0.8%의 비율이다. 하버드 들어가기가 더욱 힘들다는 뜻이다. 게다가 Legacy 스포츠 특기생을 감안하면 이 비율은 더욱 낮게 이해해야한다. 공부 잘하는 아시안 학생들에 속한 한인 학생이라면 경쟁은 더 치열해진다. 결국 한인학생의 하버드 합격 경쟁율은 0.03%로 이해된다. 한인 학생 1만명 중에 3명이 하버드 간다는 뜻이다. 경쟁률 이야기를 꺼낸 것은 다름 아니다. GPA나 SAT는 이를 구별하는 '충분한' 잣대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냉정하게 말해서 이 둘은 '보통학생의 기준'에서 학생들을 나누는 것이다. 하지만 '선수'들끼리 모이는 경쟁에서는 이 기준이 통할 수 없다. 올림픽 대표 선수들을 선발하는데 고교시절 체력장 검정 기준을 들이대서는 안되는 것과 같은 이치다. 미국에서 성적 A는 대개 상위 10%에 준다. 상위 10%면 30만명이다. SAT의 경우 총점이 2200점이면 상위 1%에 든다는 뜻이다. 상위 1%면 3만명이다. 이런 기준으로는 '카테고리'로 나눌 수 있을 뿐 진정한 선발의 기준으로 삼을 수는 없다. 그래서 명문대의 입학사정관들은 또 다른 잣대로 학생들을 구별한다. GPA와 SAT에서 어느 정도 수준에 이르렀다면 - 아이비 리그 중에서도 하버드 프린스턴 예일 등은 SAT 2350점 정도 - 다른 기준으로 학생들을 평가한다. 바로 AP나 IB Honor 등의 Advance 과목들 성적 경쟁이 치열한 아카데믹 여름 캠프에서의 경력들 AMC같은 각종 경시대회에서의 경력들 등이 기준이 된다.

2010-02-2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